반응형
위자드닷컴의 자료인데 위젯에 대한 이해와 시장을 한눈에 볼수 있도록 잘 정리되어 있다.


반응형
반응형
물체의 색상을 감지해서 쓸수있는 컬러펜이 있다.
색상을 사용하는 디자인계열에서는 참 유용한 제품일듯한데
시중엔 아직 나오지 않은걸까.

http://www.random-good-stuff.com/2009/06/01/real-life-digital-color-picker/


반응형
반응형

남자든 여자든 아래의 글을 읽어보고 미리미리 준비하는것이 좋다.





반응형
반응형

멀티MYSQL 사용하는 방법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혹 필요하신 분 계실까 싶어 조심스레 올려 봅니다.

 

MYSQL ?설정이 다른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하기

 

 

Zb5 & Talent

 

 

ZB - utf8 Database 사용

무료 Talent 쇼핑몰 프로그램 euckr 사용

 

Talent ZB를 한 서버에서 세팅하는 과정에서 Talent 쇼핑몰은 데이터베이스 접속 및 사용과 관련한 모듈이 인코딩 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PHP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언어셋(set names euc-kr 이거 맞나 모르겠어요 ㅡㅡ;;) 지정을 할 수가 없는 상태이고 어쨌든 utf8의 디비도 사용해야 하겠고 하여 하나의 디비를 세팅을 통하여 두개의 디비처럼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봤습니다. 쉬운 방법이 있을텐데 더 돌아서 문제를 해결한 것인가 싶긴 하지만 유용한 듯 합니다.

 

 

초기

Mysql DB

-         mysqld : utf8

-         client : euckr

 

목표

Server1 - utf8언어셋을 사용하는 mysql

Server2 - euckr언어셋을 사용하는 mysql

 

 

 

 

euckr 을 사용하는 데이터 베이스 추가 생성하기

버전 참고

[root@skycap etc]# mysql --version

mysql  Ver 14.7 Distrib 4.1.21,

 

 

절차

먼저 새롭게 설정할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경로로 사용할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Mkdir /database/mysql/euckrData

 

1.       PID 생성

A.       Vi /database/mysql/euckrData/mysql3x.pid

B.       해당파일이 열리면 24753 을 기입합니다. (/etc/services 에서 사용되어지지 않는 숫자를 입력하셔도 무관합니다.)

2.       MYSQL DATABASE 복사

A.       새롭게 설정한 디비에서 기존 사용자를 그대로 사용하기 위해 MYSQL DATABASE를 복사해 줍니다

B.       Cp ?rf /usr/local/mysql/data/mysql /database/mysql/euckrData/

C.       디렉토리 소유자 변경

D.       Chown ?R mysql.mysql  /database/mysql/euckrData

E.         

3.       새롭게 적용할 설정 파일 만들기 (새로운 my.cnf 파일)

A.       Cp /etc/my.cnf /etc/my_useTalent.cnf

B.       /etc/my_useTalent.cnf 편집

 

 

 

[client]

#password       = your_password

port            = 3308

socket          = /tmp/mysql.sock2

default-character-set=euckr

 

 

[mysqld]

 

skip-locking

key_buffer = 256M

max_allowed_packet = 1M

table_cache = 256

sort_buffer_size = 1M

read_buffer_size = 1M

read_rnd_buffer_size = 4M

myisam_sort_buffer_size = 64M

thread_cache_size = 8

query_cache_size= 16M

thread_concurrency = 8

log-bin

server-id       = 1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euckr_korean_ci"

init_connect ="set names euckr"

character-set-server=euckr

default-character-set=euckr

 

pid-file=/database/mysql/euckrData /mysql3x.pid

socket=/tmp/mysql.sock2

port=3308

datadir=/database/mysql/3.xData

 

[mysqldump]

quick

max_allowed_packet = 16M

default-character-set=euckr

 

[mysql]

no-auto-rehash

# Remove the next comment character if you are not familiar with SQL

#safe-updates

default_character_set=euckr

[isamchk]

key_buffer = 128M

sort_buffer_size = 128M

read_buffer = 2M

write_buffer = 2M

 

[myisamchk]

key_buffer = 128M

sort_buffer_size = 128M

read_buffer = 2M

write_buffer = 2M

 

[mysqlhotcopy]

interactive-timeout

 

 

 

C.       /etc/my_useTalent.cnf 파일에서 크게 변경된건 없으며 다른 설정파일들은 서버에 맞게 튜닝 해 주시면 되며 mysqld client 섹션에 port 부분과 sock 부분의 설정과 pid 및 데이터 디렉토리를 수정 하시면 됩니다.

 

 

이상 설정 부분은 완료 되었고 이제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시작

/usr/local/mysql/bin/safe_mysqld --defaults-file=/etc/my_useTalent.cnf혹은

/usr/local/mysql/bin/mysqld_safe --defaults-file=/etc/my_useTalent.cnf

 

종료

/usr/local/mysql/bin/mysqladmin -S /tmp/mysql.sock2 shutdown

디비 쉘 접속

mysql -u user -p -S /tmp/mysql.sock2

지금까지는 모든 언어셋을 euckr만을 사용하는 새로운 Mysql Database를 설정해 보았고 아래는 새로만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게 Talent를 설치합니다.

 

1.       데이터베이스 생성

mysql -u user -p -S /tmp/mysql.sock2

mysql> create database TShop_1;

mysql>\q

mysqladmin ?u root ?p reload ?S /tmp/mysql.sock2

 

 

2.       Apache 환경설정

A.        아파치에서 Virtualhost설정으로 해당 Domain으로의 접속은 두번째 mysqldefault로 사용 할 수 있게 설정 합니다.

        <VirtualHost xxx.xxx.xxx.xxx>

          php_value mysql.default_socket "/tmp/mysql.sock2"

            ServerAdmin webmaster@dummy-host2.example.com

            DocumentRoot …..

            ServerName xxx.co.kr

           ServerAlias www.xxx.co.kr

        </VirtualHost>

          저장하고 아파치를 재시작 합니다.

3.       Talent 설치

         talent 설치 파일에서 141라인부분의

        mysql -h $a -u $b -p${d} $c < $PPWD/$T_SQL 이부분을

        mysql -h $a -u $b -p${d} ?S /tmp/mysql.sock2 $c < $PPWD/$T_SQL 로 변경하고 저장한 후 설치 하시면 됩니다.

 

디비 사용시 CHARACTER-Set과 관련하여 sql에 테이블 생성시 특정 언어셋을 지정하여 만들곤 하다가 아직까지는 euc-kr만 고집하는 옜날 프로그램들이 있는 경우가 있어서 디비 세팅을 변경하여 그런 서비스는 차라리 설정이 다른 또다른 디비를 사용해게끔 하고 관리가 쉽게끔 하고자 구분하게 되었으며 서비스 특징을 모아서 그루핑 하여 관리하는 방법도 나름대로 괜찮을 것 같아 한번 작업해 보았고 유용한 듯 합니다.

 

 

UTF8을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SOCK1

EUCKR을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SOCK2

쇼핑몰서비스만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SOCK3

홈페이지서비스만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SOCK4

반응형

'개발도 하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젯시장전망  (0) 2009.06.25
디지털 컬러펜  (0) 2009.06.23
리버스엔지니어링  (0) 2009.06.20
공개SW 디지털교과서 이송재판, 메타냅 승소  (0) 2009.06.07
전자정부 웹표준 강화 종합대책  (0) 2009.06.02
반응형
구글에서 제공하는 문서도구를 이용하면 온라인 설문조사를 쉽게 할 수 있다.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문서도구 > 새로만들기 > 양식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설문조사를 생성할 수 있다.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고 집계된 데이터를 스프레드쉬트로 자동생성해주니
기타 spss같은 프로그램으로 불러와서 분석하면 된다.

대단한 구글~


반응형
반응형

마인드맵 툴을 쓰다가 기능제한에 걸려서
디버거를 실행시키고 이리저리 추적을 해보다가..
리버스엔지니어링에 대한 자료가 필요해서 정리.
반응형
반응형
캐즘(Chasm)이란 지질학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로 지층이 이동하면서 생긴 골이 깊고 넓어 건너기 힘든 커다란 단절을 의미합니다.
상이한 지층간의 압력차이로 인해 땅이 찢겨져 나가면서 깊고 넓은 틈이 생기게 되는데, 갈라진 양쪽은 전혀 다른 지층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커다란 벽, 갈라진 틈 또는 대홍수라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경영학에서 캐즘이란 최신기술의 혁신적인 상품이 초기에는 크게 성공하였지만
주 시장(Mainstream market)에서는 전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제프리 무어가 자신의 저서인 "캐즘 뛰어넘기(1991)"에서 캐즘이란 용어를 처음 인용하였는데,
마케팅적인 관점에서 기술과 시장과의 단절현상을 캐즘현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그는 기술이 만들어지고 시장에까지 수용되는 과정을 정리한 '기술수용주기이론'에서
초기시장과 주 시장의 특성차이에 의해 캐즘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111&docId=18158

반응형
반응형
디지털교과서라면 앞으로 파급효과가 매우 큰 분야인데 향후 진행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국가의 현실을 고려한 디지털교육환경 측면과 글로벌시장에서 SW경쟁력제고를 위한 측면이 서로 상충되는것 같습니다.




(안양=뉴스와이어) 2009년 05월 31일 -- 메타냅(대표 김준휘 mandriva.kr)은 5월 27일 관할과 이송에 대해 본안 피고들이 신청한 이송재판(안양지원, 2009 카기 82 이송신청)은 '이유없다'는 법원 판결문을 받았다고 전했다. 디지털교과서 사건 피고들의 신청이 법원에 의해 기각된 것이다.

본안재판(안양지원, 2009 가합 1578) 피고들이 동원한 변호사 수는 업체측 4명, 공공기관 2곳 16명으로 피고측 변호사 수만 20 명에 이른다. 반면, 원고인 메타냅은 대리인없이 대표이사가 직접 재판에 참여하며 피고측 연구원 및 책임자들을 전원 불러들여서 법정에서 직접 신문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준휘 대표는 “잘못은 신속히 시정해야 하며 공공기관은 입찰에 전념하지 말고 E-learning과 공개SW를 공부해야 할 것이다. 가난한 집 초등학생은 집에서 교과서도 읽을 수 없다. 외제 태블릿에 해적판 SW로 만든 교과서를 교실 캐비넷에 잠궈놓고 있다. 초등학생 교과서에 자물쇠 채우는 경우가 어디 있는가, 초등학생 교과서에 아래한글 정품번호 입력하라는 것이 과연 디지털교과서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우리들의 아이들의 교육은 우리 모두의 문제이며 초등교육부터 빈부격차가 교육격차로 이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내아이, 남의집아이 할 것이 아니라 아이들은 우리들의 아이들이며 차세대는 부당하게 남을 짓밟거나 자신의 권리를 박탈당하지 않도록 메타냅과 오픈소스가 팔걷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메타냅 소개: 공개 SW(Open Source SW)를 개발 및 배포하는 국내 중소기업이며 본사는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하며 금천구 가산동에 연구소가 있고 미국 Anaheim에 현지법인을 두고 있다. Mandrake 리눅스로 알려진 Mandriva 리눅스를 개발 및 수출하는 업체이며 리눅스 운영체제 및 공개SW인 오픈오피스에 대하여 GS인증을 취득한 유일한 업체이다. 대용량 검색엔진과 대용량 웹메일을 서비스한다.


출처 : http://www.newswire.co.kr/?job=news&no=408238

반응형
반응형
구글 서비스르 쓰다보니
도메인 등록이 필요하다.

서비스를 위해서 하나 등록해볼까 하다가
잘 정리한 글을 발견해서 펌질.


---

요즘에는 개인블로그에도 ID.서비스회사.com 식의 접속주소가 아닌
자기 자신의 고유한 접속주소(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기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도메인!
인터넷 시장이 점점 더 커져가면서 도메인 등록기관은 무수히 많이 생겨났습니다.
적게는 몇천원 단위에서 부터 많게는 3만원 까지 호가하는 등록비용들을 받고 있는데요.
과연 그 차이는 어디에 있을까요?

현재 도메인을 가지고 계신분들은 만료가 되기 전까지 계속 연장을 하셔야 할 것이고
자신만의 도메인이 없으신 분들은 이번 기회를 통하여 저렴하고 좋은 가격에 자신만의 도메인을 가져보는것은 어떨까요?


본론으로 들어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com .net .org와 같은것들은 국제도메인 이라고 하고있고
.kr .co.kr .pe.kr과 같은것들은 국내도메인이라고 하고 있지요.

국제도메인의 총 관리는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http://www.icann.org/)에서 하고 있고
국내도메인의 총 관리는 한국인터넷진흥원산하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http://domain.nida.or.kr/)에서 하고 있습니다.

우선은 대부분이 관심을 가지고 계신 국제도메인에 대해서 알아볼까합니다.
ICANN에서는 도메인 등록기관에 대한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어서 이곳에 등록된 사업자는
직접적으로 국제도메인에 대한 등록 등의 업무를 하게 됩니다.

ICANN 인증 도메인 등록기관(국내기관)
http://www.icann.org/registrars/accredited-list.html

Asadal, Inc. (http://www.asadal.com/) .asia, .biz, .com, .info, .net, .org
Cydentity, Inc. dba Cypack.com (http://www.cypack.com/) .biz, .com, .info, .name, .net, .org, .pro
Dotname Korea Corp. (http://www.dotname.co.kr/) .asia, .biz, .com, .info, .name, .net, .org, .pro
Gabia, Inc. (http://www.name7.com/) .asia, .biz, .com, .info, .name, .net, .org
HANGANG Systems, Inc. dba Doregi.com (http://www.doregi.com/) .asia, .biz, .com, .info, .mobi, .name, .net, .org, .pro
IBI.Net, Inc. (http://www.ibi.net/) .asia, .biz, .com, .info, .name, .net, .org, .pro
Inames Co., Ltd. (http://www.i-names.co.kr/) .asia, .biz, .com, .info, .jobs, .mobi, .name, .net, .org, .pro, .travel
Netpia.com, Inc. (http://www.ibi.net/) .asia, .biz, .com, .info, .name, .net, .org, .pro
Samjung Data Service Co., Ltd (http://www.direct.co.kr/) .biz, .com, .info, .name, .net, .org, .pro
Today and Tomorrow Co., Ltd. (http://www.ttpia.com/) .com, .net, .org
Wooho Technology CO., Ltd d/b/a RGNames.com (http://www.rgnames.com/) .asia, .biz, .com, .info, .jobs, .mobi, .name, .net, .org, .travel
Yesnic Co., Ltd. (http://www.yesnic.com/) .asia, .biz, .com, .info, .mobi, .name, .net, .org, .pro

참 많지요? 불과 몇년전까지만 하더라도 5개 정도에 불과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가 인터넷 인프라 구축이 잘 되면서 이쪽 분야의 사업도 활발해 져서 사업체도 많이 늘어난 것이죠.

단적으로 일본에는 현재 7개의 ICANN인증 도메인 등록기관을 보유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중국이나 영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D


이러한 ICANN인증 도메인 등록기관의 장점이라 하면

무엇보다도 직접적으로 도메인에 대한 관리를 해당 업체가 하는것이므로

처리속도 면에서 빠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국내업체의 경우 서비스 및 기타 변경 등에서 모든 기술지원이 한글로 가능하니

영어 울렁증이 있으신 분들은 아주 편리하게 도메인을 구입, 설정, 관리하실 수 있는것이죠^0^


ICANN인증 도메인 등록기관이 아닌데도 도메인 사업을 하는 업체는 무엇이냐?

고 물으시는 분들이 있을것인데... 이러한 업체는 타 국가의 등록기관의 대행을 하는 업체입니다.

(한마디로 리셀러 라고 할 수 있죠)

구분법은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이 ICANN인증 도메인 등록기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은 리셀러 업체

말 그대로 오른쪽의 리셀러 업체는 인증 등록기관의 파트너-_- 입니다.

이 마크 있다고 '인증기관 이구나!' 이라고 하셨다가 정작 아닌 경우가 있으니 자세히 보시기 바래요~


각각의 장단점을 말하자면...

ICANN인증 등록기관은 장점은 위에서 언급한 그대로 입니다.

단점이라면... 가격이 좀 비쌉니다. 많게는 3만원 가까이 나오기 때문에... 가격적인 부담이 있죠.

그래서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은 업체는 Cypack(http://www.cypack.com/) 입니다.

가비아와 같이 유명한 ICANN인증 등록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도

(ICANN인증기관이 5개인가 있을때 부터 있던 업체입니다)

가격적인 부분에서도 경쟁력 있죠.(국제도메인 11,000원)

몇년동안 사용해 본 결과 서비스 응대라던가 하는 부분에서도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특히 몇년째 가격이 계속 고정되었다는 부분도 마음에 들고 말이죠.

(타 업체는 ICANN인증을 받고서 슬그머니 등록비용을 올려버렸습니다. 거의 2배 정도...)


그리고 리셀러 업체의 장점이라면... 파격적인 가격입니다.

적게는 5,000원에서 많게는 10,000 정도의 등록비용을 받습니다. (5,000원은 이벤트 시에나...)

단점은 리셀러 업체이다 보니 도메인이 공중부양할 위험이 ICANN인증 업체보다 높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외국 등록기관의 리셀러이다 보니 도메인 이전 등의 사후관리시

영어 E-Mail 답변을 해줘야 한다던가 하는 부분이 있지만, 요즘에는 이 부분에서도

리셀러 업체가 많은 도움말을 제공하고 있으니 큰 어려움을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자 그럼 이제 국내도메인으로 가볼까요?

.kr 이 오픈한지도 이제 1년이 다 된 것 같은데요. 덕분에 .co.kr 이나 .pe.kr 의 주소의 가치가 약간 하락했습니다.

어쨌든 자랑스러운 우리의 도메인이 거의 등록건수 100만개를 눈앞에 두고있다고 합니다.

요즘 그래서 이벤트도 많이 하는것 같구요.

국내 도메인 공식 등록업체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통 이런 마크를 달고 있습니다.

이런것이 없는데 국내도메인을 등록하는 회사는 국제도메인과 마찬가지로 리셀러 형식입니다.

국내 도메인 공식 등록기관은 아래와 같습니다~
좋은인터넷(주)  http://www.youiwe.co.kr 
(주)웹티즌  http://www.quickdomain.co.kr/
리눅스웨어(주)  http://www.mailplug.com/
(주)엘피씨에스  http://web123.co.kr/
한국정보인증(주)  http://www.domainca.com/ 
(주)닷네임코리아  http://www.dotname.co.kr/
(주)블루웹  http://domain.blueweb.co.kr/
(주)정보넷  http://www.jungbo.net/ 
삼정데이타서비스(주)  http://www.direct.co.kr/
(주)아이비아이닷넷  http://www.ibi.net/   
(주)우호테크놀로지  http://www.r.co.kr/
호스트센터  http://www.domainclub.kr/
(주)그린네트웍스  http://www.mynet.co.kr/
아레오네트웍스  http://domain.arreonetworks.com/
호스트웨이아이디씨  http://domain.hostway.co.kr/
(주)가비아  http://domain.gabia.co.kr/
(주)오늘과내일  http://ttpia.com/
㈜마이미디어DS  http://www.names.co.kr/
(주)코리아센터닷컴  http://www.makedomain.co.kr/
비아웹  http://www.viaweb.co.kr/
(주)아사달  http://www.asadal.com/
한강시스템(주)  http://www.doregi.com/
한국전화번호부  http://bizu.isuperpage.co.kr/
(주)인터넷나야나  http://nayana.com/
(주)아이네임즈  http://www.inames.co.kr/
(주)후이즈  http://whois.co.kr/
메가존  http://www.hosting.co.kr/

국내 도메인 중에서 공신력 있는 업체는 아이네임즈, 후이즈, 가비아 이정도 입니다.(하지만 가격이...ㄷㄷㄷ)
역시 국제도메인과 마찬가지로 가격은 천차만별 입니다.
구체적인 가격비교와 서비스 비교는 이곳에서 제공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목록에는 없지만 리셀러 형식으로 국내도메인 등록을 하고있는
Cypack(http://www.cypack.com/)을 추천합니다. 국제도메인 국내도메인 모두 이곳에서 관리했는데
국내도메인은 국내에서 가장 믿음직한 아이네임즈 리셀러라서 더욱 믿음이 갑니다.(가격이 저렴)

국내도메인을 아주 싼 값으로 등록하시려면 메가존(http://www.hosting.co.kr/)을 이용하시면 좋겠네요.
공인 .kr등록기관인데다 부가세 포함 11,000이면 등록 연장 이전 모두 해결됩니다.


마지막으로 도메인을 보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국제도메인과 국내도메인 모두 도메인Lock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것은 설정해 두면 설정 해지를 하지 않는이상 도메인에 대해서 정보변경 기관이전을 할 수 없는 서비스라
누군가 나쁜의도로 도메인을 훔치려(?) 하는 시도를 막아주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해킹 등으로 도메인을 훔치는 사례가 있었다고 하네요.

국제도메인의 경우 각 등록기관별로 Lock설정을 하는 옵션이 있을겁니다.
그리고 국내도메인의 경우 KRNIC자체적으로 Lock설정을 지원하는데요.
설정은 이곳에서 하시면 됩니다.


이제까지 도메인에 대해서 아는 범위내에서 적어보았습니다.
도메인을 사용한지 이제 8년차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1년 이상 연장해 본 적이 없고 그냥 여러업체를 이전 이전 해가면서 느낀것은...
도메인도 AS가 필요한 것이고 고객상담 서비스가 제일 중요하고
부가적으로는 무료 부가서비스가 잘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모 도메인 업체에서 상당히 안좋은 기억이 있어서 그 업체는 다시는 사용안하고 있습니다.
고객 응대가 영 아니어서 말이죠...
어쨌든 이정도는 알고 등록하셔야 할 것 같아서 포스팅 합니다.

적절한 가격에 좋은 서비스 잘 골라서 받으시기 바랍니다~

정말 마지막으로 저렴한 도메인 등록기관, 현재 하고있는 도메인 할인 이벤트 정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삼정데이타서비스(주) http://direct.co.kr/domain/domain.html 
(.com / .net / .org   7,000원/1년 부가세별도, ICANN인증 국제도메인 등록기관 : 이벤트가 아닌 상시 등록으로는 가장 최저가 같습니다~ 거기다 ICANN인증기관~)

메가존 http://www.hosting.co.kr/
(.com / .net / .org / .name / .kr / .co.kr 신규, 연장, 기관이전 11,000원/1년 부가세포함 국제도메인은 리셀러 형식, .KR 공인 등록 기관 : 이곳 역시 이벤트가 아닌 상시 등록으로는 국내도메인 최저가 같습니다.)
(.pe.kr 신규, 연장, 기관이전 8,800/1년 부가세포함 .KR 공인 등록 기관 : 이곳 역시 이벤트가 아닌 상시 등록으로는 국내도메인 최저가 같습니다.)


(주)오늘과내일 http://dom.tt.co.kr/ 
(국내도메인 기관이전시 11,000원 부가세별도, .KR 공인 등록 기관 : 6월 30일까지의 이벤트 입니다. )

좋은인터넷(주) http://youiwe.co.kr/
(.co.kr /.kr : 9,900원/1년 .KR공인 등록 기관 : 3월 31일 까지의 이벤트~)

(주)정보넷 http://www.jungbo.net/
(국제도메인 5,000원/1년 부가세별도 : 리셀러 형식의 업체~ 이벤트라 언제까지인지는 모르겠지만 리셀러 업체중에서 가장 저렴합니다)


덧붙여서... 국내에서 가장 인정받는 서비스 입니다.
가격과는 상관없이 최대의 공신력과 안정성이 필요한 대형 사이트에서 필요한 도메인 레지스트리 입니다.

가비아 http://www.gabia.com/
(24시간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하니 가격보다는 안정성이 중요할 때 사용하세요)

아이네임즈 http://www.i-names.co.kr
(국내도메인의 원조 회사 입니다. 국내도메인 레지스트리 오픈되기 전에는 아이네임즈가 독점으로 하고 있었죠...)

----

웹 호스팅업체를 고를 때와 마찬가지로 도메인 등록 업체를 고를 때도 요금 말고도 안정성, 그리고 믿을만한 업체인지 고객 대응은 좋은지를 꼭 따져봐야 한다.

하지만 업체간 가격 차가 너무 심하다. 게다가 정보통신부에서는 2007년 2월 27일부터 kr 도메인 수수료를 1만4천원에서 9500원으로 4500원 내린다고 했지만, 아직까지 그에 맞춰 요금을 내린 업체는 별로 없어 보인다. 카페24 같은 경우 .pe.kr이 11000원이고 .co.kr이 22000원이니까 얼마간 내리지 않을까 했는데 감감 무소식이네.

아래 표 1은 업체별로 도메인 가격 (부가세 포함 등록 기준 1년 가격)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몇년치를 한꺼번에 등록하거나 이전하는 경우, 그리고 회원 등급 등 다른 조건에 따라 이것보다 더 쌀 수도 있다. 따라서 가입하기 전에 직접 꼼꼼하게 살펴보기 바란다.

 

표 1. 도메인 등록 업체 요금 비교 (부가세 포함 등록 기준 1년 가격 (원))
업체 .pe.kr .co.kr .kr .com 주소
메가존 8000 11000

hosting.co.kr
8800 16500
7590 quickdomain.co.kr
너나우리 8800 16500
7700 youiwe.co.kr
싼도메인 8800 19800
9900 ssandomain.com
웹123 9900 16500
16500 web123.co.kr
다이렉트호스팅 9900 17600
- direct.co.kr
메일플러그 9900 17600
13200 mailplug.com
정보넷 9900 19800
17000 jungbo.net
닷네임코리아 10780 20350
10780 dotname.co.kr
카페24 11000 22000
22000 hosting.cafe 24.com
X-Y.NET 11000 22000 18000 16500 x-y.net
블루웹 11000 16500 21700 8800 blueweb.co.kr
바다넷 11000 22000
22000 badanet.co.kr
도레지 11000 22000 22000 19800 doregi.com
아이비아이닷넷 11000 22000
19800 ibi.net
나야나 11000 22000
15000 nayana.com
네임즈 11000 22000
19800 names.co.kr
마루호스팅 12100 19800
13200 maruhosting.com
가비아 14300 24200
28600 gabia.com
도메인카 14300 22000 22000 22000 domainca.com
오늘과내일 14300 27500
22000 tt.co.kr
팀장닷컴 15000 15000
25000 teamjang.com
아사달 16500 22000 25000 27500 asadal.com
호스트웨이 16500 16500
9900 hostway.co.kr
아이네임즈 17600 28600
28600 inames.co.kr
후이즈 18900 28600
28600 whois.co.kr
엘에이치 19800 19800
15400 lhhosting.co.kr
고음 28000 33000
28000 goum.co.kr
알지네임스 28600 28600
28600 r.co.kr
푸딩닷컴 ? ?
? pooding.com
비누넷 - - - - byus.net
아이비 호스팅 - - - - ivyro.com
Shared Shell - - - - sshel.com

-----------
현재 쓰고 있는 ihopeingod.pe.kr 즉, 작년 12월 네이버와 정부의 pe.kr 무료등록 신청 기간에 신청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료로 등록한 것은 제 경험상 처음이었기 때문에 여기저기 많이 찾아보았고, 어디가 제일 가격이 싸고 서비스는 어떠한지 조사해보았습니다. 앞서 제가 쓴 글을 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그런 과정에서 여러 헤프닝도 있었습니다.

 먼저 제 헤프닝을 소개하면 이렇습니다.

 어디가 제일 싼 곳인지 알아보다가 퀵도메인(www.quickdomain.co.kr) 이 제일 싸다는 것을 알게 되어 아무 생각없이 무작정 바로 제가 생각했었던 도메인을 신청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때 시간이 일요일(3/29) 새벽 2시경이었는데, 카드승인은 떨어졌지만, 해당 업체 장애로 도메인신청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나중에 환불받을 생각을 하고 다시 카드결제로 도메인을 신청하였지만 똑같은 에러로 둘다 카드승인만 되고 둘다 도메인신청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해당업체로 전화를 했는데, 새벽시간이라 그런지 전화를 받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해당업체 고객게시판에 도메인승인신청관련하여 오류를 알리고, 환불이나 도메인 등록을 요청하였습니다.

 그리고 어제 (3/30) 오전 11시경 E-Mail 로 2건 모두 환불처리되었다고 메일이 왔습니다. 그래서 국민카드 사이트에서 카드승인취소 조회를 했는데 국민카드사에는 승인취소가 되어있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다시 해당업체로 문의를 하니 그쪽에서는 승인취소가 이미 신청을 하였다고 해서 다시 결제사이트인 한국사이버결제(http://www.kcp.co.kr/)에 전화로 문의를 하였습니다. 그랬더니 거기서 환불신청이 되었다고 하며 카드사에는 3-4일 후에 확인가능하다고 하더군요.

 아직 국민카드사이트에서 카드결제 취소여부 확인을 되지 않지만 아무쪼록 잘 되겠죠..^^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바로 고객사이트에서 문의한 내용이 답변이 오고, 전화상담도 친절하더라구요. 하지만 결국 도메인은 그곳에서 하지는 않았습니다. 액땜을 하고 나니 진이 빠졌다고나 할까요^^

 어쨋든 잘 해결 되었으니 다행입니다. (아직 국민카드사 승인취소 확인절차가 남아있긴 하지만..)

 도메인 신청을 하면서 배운게 한가지 있다면 가격만 보고 덥썩 도메인을 구입하면 안되겠다는 거였습니다^^

 혹시 도메인 신청을 하실 분이 계시다면 제가 배운 몇가지 유의사항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첫째로, 무엇보다 가격을 따져보아야겠죠.. 도메인업체마다 크게 두배 가까이 도메인등록 가격이 차이가 나니까 그래도 가격은 무시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몇 천원 차이면 몰라도요^^

 우리나라 국가도메인 가격비교는 이곳에서 확인 하실 수 있고요 (한국인터넷 진흥원)

  com net  org  co.kr  kr 
 웹티즌
(퀵도메인)
10,900  10,900  10,900  10,945  10,945 
 누리호스팅 11,000  11,000  11,000  11,000  11,000 
 메가존
(호스팅케이알)
15,400  12,650  15,400  10,890  10,890 
 비아웹 15,400  15,400  15,400  11,000  11,000 
 코리아서버
 (KSDOM)
11,800  11,800  11,800  11,500  11,500 
 호스트센터 11,300  11,300  11,300  11,800  11,800 

 위에 가격비교표는 신규등록기준이고 기관등록시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그리고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한국국가도메인(kr, co.kr 등)만 비교할 수 있어서 한국국가도메인 기준 저렴한 사이트 6곳을 선정하여 국제도메인을 알아본 자료입니다. (2009년 3월 31일 기준임)

 참고 - http://anyweb.tistory.com/387 국제, 국내 도메인 가격 제일 싼곳 (신규등록/기간연장/기관이전)

 둘째로는, 인터넷사이트에서 해당 도메인업체에 대한 고객들의 평가를 살피시라는 겁니다. 업체사이트에 들어가면 고객게시판이라는 곳이 있는데 그곳에서 고객들이 어떠한 평가를 하고 있으며, 해당업체가 얼마나 성심성의껏 답변을 하고 있으며, 문의 후 답변 시간은 얼마나 되는지 꼼꼼히 따지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해당업체명으로 검색을 해보셔서 여러 다른 블로그나 카페등에서 그 업체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살피시기 바랍니다.

 셋째로, 24시간 상담이 가능한가 하는 것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문제 발생시 바로 조치하기 위해서는 평일과 주말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곳이 좋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들어가시면 한국 국가도메인(kr, co.kr, pe.kr 등)에 대한 가격비교정보와 24시간 상담가능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단, 여기에 나와있는 24시간 상담시간은 주중기준으로 주말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니 해당업체 사이트에 직접 들어가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조사한 바로 토요일, 일요일 모두 24시간 가능한 도메인등록업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비아, 누리호스팅, 블루웹, 아사달, 아이네임즈, 오늘과 내일, 인터넷나야나, 정보넷,
코리아서버호스팅(KSDOM), 비아웹, 삼정데이타서비스, 호스트센터(도메인클럽), 호스트웨이

 마지막으로, 만약에 도메인을 통해 사용하실 부가서비스나 기타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먼저 문의 후 가능한지 물어보시고 등록하시면, 추후에 그 문제로 인해 겪을 마음 고생을 덜 수 있을 겁니다. ^^

 기타 유의사항은
http://grad.egloos.com/4010020 '회원가입시 살펴보는 것들 - 도메인업체' 참고

 이상 후기 끝~^^
반응형

'삽질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설문조사를 구글로 해보기  (0) 2009.06.21
캐즘  (0) 2009.06.09
XE를 이용한 웹사이트 구축  (0) 2009.06.03
MS Outlook 2007 트레이에 숨기기  (0) 2009.05.29
온라인으로 사진 꾸미기  (0) 2009.05.23
반응형

CMS를 사용하여 웹사이트를 구축할때는 제품의 전체 적용범위를 이해하고
절차에 맞는 구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XE를 이용한 웹사이트 구축 시에는 아래의 절차대로 하는것이 좋다.


배포처 : http://www.xpressengine.com/

1. 최신버전을 다운로드 받는다.

2. DB정보입력, 권한조정등을 거친 후 설치완료

3. 관리자 모드로 들어가서 구축을 시작한다.

4. 웹사이트 구축에 대한 구성도를 우선 가지고 있어야 한다.

5. 서비스관리>페이지 에서 Home 이라는 페이지를 우선 생성한다.

6. 우측상단의 Setting 으로 가서 조금전 생성한 Home 이라는 페이지를 시작모듈(사이트접속하면 처음나오도록)로 설정한다. Home 이라고 만든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메인페이지용 레이아웃으로 선택해야 한다.

7. 사이트설정>메뉴 에서 상단에 적용할 메인메뉴와 하단에쓰일 하단메뉴(보통 contact 등의 메뉴)를 각각 생성해둔다(추후 레이아웃에서 불러서 사용하기 위해서)

8. 서비스관리 메뉴에서 웹사이트에 사용될 페이지나 게시판등을 각각 만든다

9. 사이트설정>메뉴 에서 조금전 서비스관리에서 만든 페이지나 게시판과 연결해준다

10. 레이아웃과 스킨등을 수정해서 자신의 사이트로 만든다.


반응형

'삽질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즘  (0) 2009.06.09
도메인 등록해야 하나  (0) 2009.06.04
MS Outlook 2007 트레이에 숨기기  (0) 2009.05.29
온라인으로 사진 꾸미기  (0) 2009.05.23
GTD란 무엇인가?  (0) 2009.05.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