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규 인력을 채용할 때 제가 준비가 부족하지 않았나 해서 정리합니다.
역지사지라고. 입장을 바꿔보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인데, 매번 준비하지 못한 내용입니다.
좋은 인력을 채용하려면, 많은 노력을 하는 것이 당연하겠죠.
아래의 내용은 제가 생각하는 인재채용시 제공해야할 필수항목입니다.


회사의 비전을 잘 제시해 준다.(미래모델을 반드시 제공한다.)

회사가 지금까지 수행한 내용을 제공한다.

조직에 소속 후 누리게 되는 혜택에 대해서 선명하게 제시한다.

개인의 비전과 회사의 비전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지원자를 배려하는 기술수준향상계획, 업무능력 고도화지원을 강조한다.

주기적인 평가에 의해서 달라지는 처우를 제공한다.

편안한 업무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내용을 모두 기재한다.

복리후생에 대하여 허용되는 범위를 모두 기재한다.

개인 기술향상을 위한 지원내용을 포함한다.

실제 신뢰할 수 있는 사진을 첨부해서 보여준다.

회사 홈페이지에서 많은 정보를 얻게 되므로, 회사도메인에 대한 신뢰가 부여되도록 준비한다.

개인생활을 보장하는 내용을 기재한다.

진보적인 업무수행을 보여준다.

신기술 습득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보여준다.

유연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모습을 제공한다.

팀자율성을 보장하는 내용을 제공한다.

직원이 참여하는 내용을 입력한다.
반응형
반응형

 

  • 운전자(Driver) - 구체적이고 전술적인 차원에서 팀이 나가는 방향을 지시한다. 그룹의 회의와 활동을 조직하고 이끈다.
  • 조정자(Coordinator) - 고차원적이고 전술적인 차원에서 팀이 나가는 방향을 지시한다. 팀원 각각의 강정과 약점을 파악하고 인력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창시자(Originator) - 주요 쟁점에 대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생각과 전략으로 팀을 이끈다.
  • 감독자(Monitor) - 현실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분석한다. 공정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아이디어와 제안을 검토한다.
  • 구현가(Implememotor) - 개념과 계획을 업무 과정으로 구체화한다. 그룹 계획을 합의대로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 지지자(Supportor) - 팀원의 강점을 키우고 단점을 보완한다. 감성 리더 구실로 팀 사기를 키운다. 팀 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만든다.
  • 조사자(Investigator) - 그룹 밖에서 일어나는 아이디어, 발전, 자원을 조사하고 보고한다. 필요하면 외부와 접촉을 맡는다.
  • 완성자(Completor) - 업무 완료를 확인한다. 필요 이상으로 신경써야 하는 업무를 파악하고, 집중과 긴박감을 유지한다.
반응형
반응형
프로젝트 결과 분석

그림 출처 : http://bit.ly/cIstqB

프로젝트의 결과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 10년간 프로젝트의 성공률에 대하여 개선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링크된 자료에 보면 여러가지 이유를 이야기 하고있습니다.

이런 자료도 있습니다.

IT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실수
The 14 Most Common Mistakes IT Departments Make



저도 비슷한 경우를 겪으니까 ㅎㅎ
왜 그럴까. 이제는 고쳐봐야지 하고 고민스러워서 정리해봅니다.

아래 문서의 목적은 프로젝트에서 제가 잘못하고 있는 내용을 반성해보고 조금 더 나아지기 위해서 입니다.

http://bit.ly/a3lLH4

링크를 누르시면 직접 느끼신 생각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익명가능합니다)

계층간의 정리도없고, 그냥 구조없는 나열식으로 데이터를 적어보는 중입니다.
이제 막 만들기 시작한 문서이니 부족한것을 차근차근 보충해가다보면 나아지겠죠. :-)

수행

개발방법론 없음
팀빌딩이 되지않은 프로젝트 진행
개발 후 디버깅이 불가능한 로깅 정책이거나 로깅정책이 없는 것.
주요기능에 대한 완벽한 품질보증(실 운영 환경에서의 테스트 부족)
프로토타입에 대한 과잉투자
주요 요구사항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음
백업 및 복구정책이 없음
소스코드에 대한 형상관리 없음
정상적인 문서화를 수행하지 않아서 추후 장애발생시 대응 불가

사업관리

프로젝트중 추가된 요구사항변경에 대한 대응 미흡
일정계획의 잘못된 추정으로 무리한 진행
공정단계별 품질관리 부재
자원 분배의 부적절로 인한 효율적인 운영 미흡
비용계획의 잘못된 추정으로 인하여 손익구조 비정상

내용추가하기


반응형
반응형

나는 힘이 센 강자도 아니고,
그렇다고 두뇌가 뛰어난 천재도 아닙니다.
날마다 새롭게 변했을 뿐입니다.
그것이 나의 성공 비결입니다.
Change의 g를 c로 바꿔 보십시오.
Chance가 되지 않습니까?

변화속에 반드시 기회가 숨어 있습니다.

- 빌 게이츠 -
반응형

'취미 그리고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칭찬하기 - 강동 KT Plaza 강유미 씨  (0) 2010.09.01
기술의 고마움 - 다음 로드뷰  (0) 2010.08.24
향후 스마트폰 어플의 개발방향  (0) 2010.06.24
케이지 세그표  (0) 2010.01.28
읽어볼책 - Free  (0) 2010.01.25
반응형
좀 오래된 책이긴 하지만, 여전히 매우 유용한 스티브 맥코넬의 RAPID Development이란
책에 나오는 RAD 적용 사례입니다.
열심히 하는 코딩만으로는 부족함을 느낄 때 반드시 읽어봐야 하는 내용이죠.

예전에 한번 봤던 책인데 이번에 다시보게되는 기회가 있어서
적용사례 한페이지를 타이핑했습니다.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제품2.0을 만드는 프로젝트의 기술수석 사라의 이야기

첫 회의에서 그녀는 팀원을 소개한 후 바로 본론으로 들어갔다.
"회사 프로젝트 전체의 사후 분석을 검토했습니다. 이제까지 다른 프로젝트에서 저지른 실수 목록이 1킬로미터는 족히 되더군요. 이 목록을 회의실에 붙여놓겠습니다. 우리가 이들 중 어떤 실수라도 저지르는 기미가 보이면 경고해줄것을 부탁합니다. 또한 여러분이 이미 알고 있거나 앞으로 부딪히게 될 가능성이 있는 실수를 추가해 주십시오. 이미 겪은 일을 이유없이 반복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저는 여러분 각자가 개발 기본에 충실하기 때문에 이 팀 구성원으로 뽑았습니다. 나중에 불필요한 수정따위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도록 제대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지 여러분은 잘 알 것입니다. 저는 여러분이 그저 열심히 일하기 보다는 현명하게 일했으면 합니다. 무작정 열심히 일하면 그만큼 많은 실수를 저지르게 됩니다. 우리에게는 그럴 시간이 없습니다."

"위험 관리 계획도 세웠습니다. 일정이 너무 꽉 짜여 있기 때문에 미리 막을 수 있는 위험에 발목을 잡힐 수는 없습니다. 이 목록에서 가장 큰 위험은 일정을 맞출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이번주는 일정을 재평가했으면 합니다. 만약 달성할 수 없다면, 좀더 현실적인 계획을 세우도록 합시다."

팀원 모두가 고개를 끄덕였다. '죽음의 행군'식 프로젝트를 해왔던 사람들은 사라의 이야기에 매우 동감했다.

그 주 후반, 사라는 상사 에디와 회의를 했다. "개발팀과 프로젝트 일정을 진지하게 검토한 결과, 현재 일정으로 현재 요구기능을 완료할 확률이 약 5% 정도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에서입니다. 물론, 항상 뭔가가 변하게 마련이지요."

"그건 안됩니다." 에디가 말했다. "정시 출시 가능성이 적어도 50/50은 되야 합니다. 게다가 출시 후 12개월 동안은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어떻게 했으면 좋겠습니까?"

"아직 제품을 완전히 구체화하지 않은 상태라서, 융통성은 약간 있습니다." 사라는 대답했다. "그렇지만 현재 요구기능을 완성하려면, 10개월에서 30개월 정도 걸린다고 봅니다. 너무 범위가 큰 줄은 알지만 우리가 만드는 제품에 대해 더 알기 전에는 이것이 최선의 추측입니다. 제품을 12개월만에 출시해야 하지요? 그 점을 고려한다면 개발자를 더 추가해야 합니다. 그리고 8개월 째에 첫 출시를 한 후 두달마다 출시용 버전을 만드는, 점진적인 출시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봅니다."

"괜찮군요" 에디가 말했다. "게다가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기능이 일정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회사와 좀 더 논의한 후에 다시 이야기합시다."

에디는 사라에게 돌아와, 회사가 필요한 기능 완료를 위해 일정을 14개월까지 늘일 용의가 있다고 전했다. 또한 안전을 위해, 점진적인 개발법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지시했다. 사라는 안심하며, 그것이 좀더 현실적인 목표라고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첫 몇 주 동안에 팀은 구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작성했다. '실수 목록'에서 프로토타입에 들이는 지나친 노력을 경고하였으므로, 프로토타입 치장을 피하기 위해 기간확정 방법을 사용하기로 했다. 팀은 구현할 기능을 결정하기 위해 고객들을 면담하는 데 프로토타입을 이용하고 사용자 피드백에 따라 이를 여러 차례 수정했다.

사라는 계속 위험 목록을 관리했다. 그녀는 프로젝트에서 가장 큰 위험은 '엄청난 수정을 요구하며 일정을 늘이는 낮은 품질', '무리한 일정', '경쟁력을 위해 도중에 추가하는 기능', 이 세 가지로 결정했다. 사라는 점진적인 출시 계획으로 '품질 위험'에 대응한다고 보았다. 팀은 8개월째에 첫 버전을 품질관리부에 넘길 예정이고, 품질관리부는 이에 맞춰 테스트 스크립트를 개발할 것이다.

팀은 기능 우선순위 목록을 만들어 일정 위험을 다루었다. 14개월안에 무조건 많은 기능을 개발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제품을 두 달마다 출시가능한 상태로 만듦으로써 어느 시점이든 출시할 수 있는 제품을 확보할 것이다. 팀은 또한 몇가지 기능에 대해 구현시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설계를 했다. 시간을 덜 들여 구현할 기능은 별로 매끄럽지는 않겠지만 쓸만한 것이며, 이런 결정으로 일정 위험을 상당히 줄일 수 있었다.

팀은 '경쟁력 향상용 기능 위험'을 두 가지 방법으로 대응했다. 그들은 5개월정도 시간을 들여, 프로토타입한 모든 기능과 3.0에 포함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구조를 설계하였다. 이 기반구조로 변화를 큰 어려움 없이 수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팀은 12개월 째 시간을 할당하여, 경쟁사의 제품을 분석하고, 프로토타입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그 후 마지막 두달 동안, 경쟁력향상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기로 했다.

6개월 시점에서 설계를 완성함과 동시에, 팀은 8개월째에 품질관리부에 넘길 첫 출시용 버전을 위해 중간목표를 상세하게 명시하는 세밀한 계획을 세웠다. 첫 버전은 별로 많은 기능을 포함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품질이 우수했고, 그 후 개발에 좋은 바탕이 되었다. 8개월째에 다시 10개월 지점을 위해 중간목표를 상세하게 명시하는 세밀한 계획을 세웠다. 12개월 지점을 위해서도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

12개월째 팀은 계획대로 경쟁회사제품을 분석했다. 경쟁사 하나가 10개월 무렵에 좋은 제품을 출시했고, 그 제품에는 우수한 기능이 들어 있었다. 제품2.0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꼭 추가해야 하는 기능이었다. 팀은 새 기능들을 우선순위 목록에 추가하고 우선순위를 재조정하여 마지막 두달을 위한 상세계획을 세웠다.

그 즈음에 연구원들 중 호세가 좀더 나은 대화창 구성을 생각해내고, 팀회의에서 안건으로 제시했다. 선임 연구원 조지가 대답했다. "아이디어는 좋아. 바꾸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지만, 지금은 안되네. 호세 자네는 하루정도면 고칠수 있겠지만, 문서화 일정에 일주일 혹은 그이상 영향을 미치네. 버전 3.0 목록에 넣으면 어떨까?"

"문서화 일정에 미치는 영향을 미처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조는 말했다. "좋은 지적이군요. '나중에 할일' 목록에 추가하도록 요청하겠습니다.

14개월째 팀은 계획대로 최종 소프트웨어를 출시했다. 제품2.0의 품질은 8개월째부터 테스트를 해왔으므로 우수했다. 문서부는 소프트웨어가 완성되기를 기다리는 대신 상세한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바탕으로 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 매뉴얼 역시 최종 소프트웨어와 같은 시기에 끝낼 수 있었다. 개발팀은 우선순위가 낮은 기능까지 구현할 시간은 없었지만 중요한 기능은 모두 구현했다. 제품2.0은 성공적이었다.

반응형

'개발도 하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 주민등록번호 노출상태 확인  (0) 2010.08.02
QR코드  (0) 2010.07.26
Social Network, Social Media  (0) 2010.07.14
데이터에서 배우자  (0) 2010.07.14
RAD(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0) 2010.07.08
반응형
기업입장에서 바라보는 소셜미디어의 활용에 대한 자료.

소셜미디어 활용하기(LG경제연구소)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기업의 특성에 맞게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면 보다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미 많은 유수의 글로벌 회사들은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간파하여 이를 다양한 기업 활동,
즉 인재를 선발하고, 기업 생산성을 높이고, 기업의 혁신과 협업을 유도하며,
기업에대한 평판을 높이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를 제공한다(델은 트위터를 통해 수백만 달러어치의 제품을 판매했을 뿐만 아니라 트위터 가입자
를 델 홈페이지로 유도하여 트위터 전용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둘째, 기업이 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에코 시스템 구축을 통해서 전사적 발언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 기업들은 트위터 계정을 만들고 홍보팀 내 담당자를 지정하여 소셜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는 소셜미디어를 홍보의 일환이 아닌 기업 경영의 전체적 흐름에서 바라보아야 하며,
기업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총괄하여 하나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것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의 구성원간 쌍방향 의사소통의 도구로 활용하면 문제의 빠른해결이 가능하다.

소셜미디어는 사용자의 상호 작용과 관계에 의해 컨텐츠가 생산되고 확산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주변의 네트워크를 통해 부여된 신뢰성을 기반으로 한 정보가 급속도로 퍼져나가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홈페이지를 거쳐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로 이어지는 소셜미디어의 큰 흐름에 정치권 및 많은 기업들이 주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는 과거의 통제 패러다임을 근간으로한 기업 내 관리는 더 이상 통용되기 힘든 시대가 도래했음을 의미한다.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기업은 앞으로 더 이상 내부 임직원의 대내외 활동을 일일이 통제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넷째, 기업경영 투명성 높이기

소셜미디어는 모든 것을 투명하게 보여준다.
과거에는 기업이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용, 기업에 유리한 일방적, 선별적 정보만을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자사 제품을 홍보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지금은 투명성이 경영의 기본으로 여겨지는 시대다




반응형

'개발도 하냐?' 카테고리의 다른 글

QR코드  (0) 2010.07.26
소스코드만으로 부족함이 느껴질때-RAD  (0) 2010.07.14
데이터에서 배우자  (0) 2010.07.14
RAD(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0) 2010.07.08
디자이너에게 배우다.  (1) 2010.07.07
반응형
SKT에서 실시했던 안드로이드 공모전의 결과분석 자료의 내용입니다.

 - 안드로이드 공모전 수상작 28선 간단한 소개자료 바로가기

생활형 유틸리티(56%) > 엔터테인먼트(30%) > 게임(5%)
• 서비스연동형 37% | 위치정보이용 21% | 카메라이용 16%
• 용량은 평균 1.17MB (17KB ~ 15MB)

핵심 keyword: 지도 SMS 소셜 센서
Application mashup도 상당한 흐름 형성
트위터를 service infra로 활용하는 경우도 다수




수상작 (더많은 내용을 보시려면 링크를 이용해서 다운로드 받으세요)



심사가 어려웠던 내용




반응형

'개발도 하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스코드만으로 부족함이 느껴질때-RAD  (0) 2010.07.14
Social Network, Social Media  (0) 2010.07.14
RAD(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0) 2010.07.08
디자이너에게 배우다.  (1) 2010.07.07
PHP 코딩 규약 - PEAR  (0) 2010.06.25
반응형
Transaction ? : http://en.wikipedia.org/wiki/Transaction

매뉴얼 : http://dev.mysql.com/doc/refman/5.0/en/commit.html


트랜잭션이란 논리적 작업 단위로 결합되는 작업 그룹을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의 오류와 상관없이
각 동작에 대해 일관성과 무결성을 제어하고 유지 관리하기위해서 사용됩니다

트랜잭션을 위한 준비

트랜잭션 테스트


테스트를 위한 table schema
CREATE TABLE trans
(
id int not null auto_increment,
item varchar(30) not null,
quantity varchar(10) not null,
primary key(id)
)type=innodb;
php sample
@mysql_connect("localhost","username",   "password") or die(mysql_error());
@mysql_select_db("test")   or die(mysql_error());
$query = "INSERT INTO trans   (id,item,quantity)
values (null,'Baseball',4)";

@mysql_query("BEGIN");   // transaction begins

$result = @mysql_query($query);
 
if(!$result)
{
	@mysql_query("ROLLBACK");   // transaction rolls back
	echo "you rolled back";
	exit;
}
 
else
{
	@mysql_query("COMMIT"); // transaction is committed
	echo "your insertion was successful";
}
반응형

'오픈소스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공개SW 생태계에 대한 이해  (0) 2010.08.15
공개SW CMS Drupal  (0) 2010.07.24
공개SW - 오픈소스 도입시 고려사항  (0) 2010.07.13
firefox 확장기능 Wired-Marker  (0) 2010.06.30
yui-compressor  (0) 2010.06.29
반응형

몇일 전 Jboss 세미나에서 몇년전 고민했던 내용이 나와서 다시 정리해봅니다.
(모두 개발하시는 분들이 참석해서 분위기는 좋았던것으로 기억됩니다)

오픈소스를 도입 후 현재 5년간 사용하고 있는 회사의 입장에서 오픈소스 도입 시 고려사항을 이야기하더군요
전에 하던 업무에서 이부분에 대해서 고민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기억이 나서 다시한번 정리해 봅니다.


외국의 경우 2007년에 발표된 오픈소스 카달로그라는 자료가 있어서
그걸 번역해서 홍보하기도 했었습니다.(한글본은 제 컴에서 검색이 안되네요)



이 문서의 주요골자는 오픈소스 도입 시 고려사항을 아래의 7개항목으로 선정하고
이 제품들에 대한 카달로그를 생성한 것이죠.


<도입 시 고려사항>



<오픈소스의 적용영역>

제 자료를 찾아보니
2008년12월에 작성했던 공개소프트웨어 정보화전략계획수립 가이드에 아래의 내용이 있네요.

이 문서의 내용은 오픈소스기반의 ISP사업을 위한 가이드입니다.



반응형

'오픈소스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개SW CMS Drupal  (0) 2010.07.24
MySQL Transaction  (0) 2010.07.14
firefox 확장기능 Wired-Marker  (0) 2010.06.30
yui-compressor  (0) 2010.06.29
php 어플리케이션 로그 - log4php  (0) 2010.06.29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http://www.kida.or.kr) 웹사이트의
자료실 > KISA 라이브러리 > 기타 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IT서비스를 운용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IT 기술과 서비스에 알맞는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겠습니다.

직접다운로드 하시려면 http://j.mp/bgfngc 에서 가능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