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이제 더 이상 취미생활로 하던 수준이 아니고 기업에서 목적을 가지고 운영하는 것이 대세입니다.

하지만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관리가 생소하고 이 때문에 프로젝트 수행 조직은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구축 및 성장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경험이 부족해서 어려움이 많은 현실입니다.

얼마전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관리에 대한 강의를 할 일이 있어서 강의 자료를 작성했는데 그 내용중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운영에서 생각해볼 만한 점을 공유합니다.

 

프로젝트의 메인테이너의 필요한 활동

• 프로세스 문서화 - 사용자, 기여자, 개발자를 위한 최신의 문서를 제공

• 공평하게 작성되고 집행되는 규칙 준비 – 프로젝트의 유지관리 상태를 투명하게 공유

• 커뮤니케이션 공개 – 가능한 모든 커뮤니케이션을 공개

• 멘토링 수용 – 품질이 낮은 기여를 제출하는 경우 인내심을 가지고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

• 커뮤니티의 기여자 활용 – 공개적으로 필요한 요청을 제시하고 반복적인 기여자에게 더 많은 책임을 부여

• 다른 사람이 필요한 솔루션 구축을 지원 (API)

• 자동화 도구를 적극 활용 – 모든 제출에 대해 최소 품질 표준을 설정하고 코드 품질 향상을 위한 테스트를 자동화

 

오픈소스 커뮤니티 매니저의 필요한 활동

• 커뮤니케이션이 공개되고 접근 가능한 경우 누구나 과거의 게시물을 읽고 참여 가능한 장소 제공 (커뮤니티 사이트, 포럼, 메일링리스트)

• 개인적인 대화를 공개 채널로 안내해서 전환하도록 유도

• 커뮤니티의 이슈에 대한 빠른 대응 - 48시간 내에 코드 검토를 받은 기여자들은 매우 높은 충성도(모질라 재단 연구)

• 인터넷 상의 다른 곳(Stack Overflow, Twitter, Reddit, Google)에서 프로젝트가 언급될 수 있기 때문에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

• 공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보안 문제, 민감한 행동 규범 위반 등의 예외적 상황을 커뮤니티 구성원이 개인적으로 보고할 수 있는 방법 제공

• 행동 규범을 준비하여 나쁜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티 구성원을 최소화 – 문제가 지속되면 떠나도록 요청해야 할 수 도 있음.

• 커뮤니티 내부에서 기여자를 발굴하기

• CONTRIBUTING.md 파일에서 새 기여자에게 시작하는 방법을 제시

• 기여자를 환경하는 특별한 페이지 준비

• 이슈에 다양한 유형의 제공자에서 적합한 레이블 사용 – good first issue, help wanted

• 친절한 문서를 사용해서 사람들이 모든 단계에서 환영 받는 느낌을 받도록 제공

• 커뮤니티와 최대한 소유권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준비 - 사람들은 소유권을 느낄 때 기쁘게 기여합니다.

• 갈등 해결 –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기준을 설정해서 구성원간 강한 의견이 있는 경우 참여하기 보다는 중재자의 입장을 취할 것

• 투표를 통한 주요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대화를 듣고 토론을 먼저 하기 - 답변 보다는 과정에 집중하는 것이 커뮤니티를 건강하게 만듭니다.

•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충분히 들을 수 있을 때까지 주요 관심사에 대해 논의합니다.

• 조용한 커뮤니티 사용자를 고려하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 커뮤니티에서 행동의 우선 순위를 식별 – 순위 결정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해야 함, 이 때는 GOVERNANCE 파일에서 순위 결정 및 관련 프로세스를 식별 한 후에 사용

• 커뮤니티 거버넌스 모델은 프로젝트 참여자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과 프로젝트 내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설명하고 프로젝트 참여 및 프로젝트 팀 및 커뮤니티 내 의사소통 및 공유 프로세스에 대한 기본규칙을 설명. 

 

오픈소스 프로젝트 관리자의 커뮤니티 관리에 필요한 활동

• 사용자들이 우리 프로젝트를 잘 찾을 수 있는가? 

• 총 페이지 조회수 : 프로젝트를 조회 한 횟수를 알려 줍니다

• 총 순 방문자수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프로젝트를 보았는지 알려줍니다

• 추천 사이트 : 방문자가 어디에서 왔는지 알려줍니 다. 이 측정 항목은 잠재 고객에게 도달 할 수 있는 위치와 프로모션 노력이 효과가 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인기있는 콘텐츠 : 방문자가 프로젝트에서 방문한 위치를 페이지 뷰와 순 방문자수로 나눕니다.

• 기여자 당 총 기여 수 및 커밋 수  - 기여자 수와 활동중인 사람 수를 알려줍니다. 

• 처음 기여자, 일시적이거나 반복적인 기여자 - 새로운 기여자를 받고 있는지 여부와 그들이 다시 왔는지 여부를 추적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여자가 없으면 프로젝트 커뮤니티가 정체 될 수 있습니다. 

• 이슈 및 요청 수 - 이 수치가 너무 높으면 문제 심사 및 코드 검토에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컨트리뷰션 유형 : 예를 들어 커밋, 오타 또는 버그 수정 또는 문제에 대한 의견

• 미해결 이슈 및 풀리퀘스트 요청 수 - 누군가 프로젝트를 이슈를 관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수가 증가하면 사람들이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 이슈 또는 풀 요청이든 관계없이 기여자 (또는 다른 관리자)가 기여에 응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추적

 

아래 화면은 오픈소스 프로젝트 하모니카의 모니터링 시스템입니다.

강의자료

https://www.slideshare.net/chaeya/ss-183109697

반응형
반응형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구글,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대기업도 개방형 혁신활동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를 위하여 자사의 기술을 외부에 공개하고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핵심기술을 주도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기술혁신은 자체적인 우수 인적자원의 확보 및 효율적 내부자원의 활용을 중심으로 조직 내부의 연구개발을 통해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아이디어의 발굴에서 기초연구, 제품개발, 사업화에 이르는 모든 기술혁신의 과정을 기업 내부에서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기술의 복잡성이 증대하고 제품 수요가 다양해지고 시장경제의 글로벌화가 가속되며 기술혁신의 비용은 급증하는 상황을 맞이하여 조직의 연구개발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술혁신 과정에서 외부와 협력하는 현상이 확대되고 있는데 UC버클리 대학의 Chesbrough 교수가 주창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이론에 따르면 개방형 혁신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습니다.

“개방형 혁신은 기업이 안으로의 지식 흐름(inflow)과 밖으로의 지식 흐름(outflow)을 적절히 활용하여 내부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혁신의 외부 활용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다. 개방형 혁신은 기업들이 내부 아이디어뿐 아니라 외부 아이디어도 활용할 수 있고, 또 활용해야 하며, 자사의 기술을 상업화하여 시장에 진출할 때 내부뿐 아니라 외부 경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사용해야 함을 전제하는 혁신 패러다임이다. 개방형 혁신과정은 내부와 외부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아키텍처와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 아키텍처와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은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정의된다. 비즈니스 모델은 내부와 외부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가치를 창출하고 그 창출된 가치의 일부를 자사의 몫으로 전유하기 위한 내부 메커니즘을 정의한다. 개방형 혁신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내부 아이디어가 외부 경로, 즉 기업의 기존 비즈니스 모델 밖에 있는 채널을 통해 시장으로 나갈 수 있음을 전제한다 (Chesbrough 2006b: 1)” 

이론에 따르면 개방형 혁신은 연구, 개발, 상업화에 이르는 일련의 기술혁신 과정에서 조직 내부와 외부 사이에 일어나는 모든 형태의 지식 교류 활동을 의미하며, 집단 지성을 활용한 지속적인 개선과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기술혁신이 이루어지는 오픈소스 커뮤니티는 개방형 혁신 활동의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최근 이런 흐름을 반영해서 전통적인 연구개발을 오픈소스 개발방식으로 진행하려는 오픈R&D에 대한 학교와 기업의 흐름이 증가하고 있죠. 

저는 리눅스 커뮤니티 하모니카(http://hamonikr.org)를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에 활발하게 커뮤니티가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하모니카 커뮤니티는 월평균 만명정도의 방문자가 있습니다. [참고] 웹로그 분석 : http://hamonikr.org/board_aMBI05/49687

때문에 저 자신도 오픈소스 커뮤니티 운영에 고민이 있고 그러다 보니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구축과 운영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현장의 고민을 자주 듣습니다. 

오늘은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무엇이 필요할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 현황 

오픈소스 커뮤니티[5]란 누구에게나 프로그램의 소스코드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보장하고 책임과 권한을 공유하며 지속적인 개발자와 사용자의 기여에 의해서 프로젝트가 변하는 커뮤니티를 의미하며,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은 소프트웨어 릴리스를 위한 활동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개발자 커뮤니티와 공개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테스트, 버그 제출, 의견 제시 등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사용자 커뮤니티가 존재합니다.


그림 1 Open Source Development Model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최근 조사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대표적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 저장소인 깃허브(Github)에서는 약 38만 건의 프로젝트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약 2,000만 명이 약 16만 개의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프로젝트 기여를 위해 사용자․개발자로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비해 국내의 경우 총 248개의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운영중인 것으로 파악되어 글로벌 대비 0.1% 수준의 규모이며 그 중에서도 사용자 커뮤니티 214개(86%), 개발자 커뮤니티 34 개(14%)로 국내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다수는 오픈소스의 사용자 커뮤니티로 조사되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외에서는 여러 재단을 중심으로 커뮤니티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개발 참여와 기여가 활발하지만 국내에서는 개발에 참여보다는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제공하는 결과물을 활용하거나 사용법을 묻는 것이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국내 오픈소스 커뮤니티 중 해외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프로젝트를 공유하거나 국제 행사 참가를 통해 교류중인 커뮤니티는 14개로 파악되었습니다. 국내의 오픈소스 생태계는 생산자 관점의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용이 매우 저조한 실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국내 기업의 오픈소스 커뮤니티 기반 개방형 혁신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사용자 커뮤니티 중심의 국내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글로벌 개발자 커뮤니티와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구축 


직접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구축하기 전에 먼저 원하는 공개하려는 소프트웨어와 유사한 관심사에 대한 커뮤니티가 국내·외에 이미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동일한 관심사의 커뮤니티가 이미 존재하는데 새로운 커뮤니티를 형성하려고 하면 참여자들의 커뮤니티의 신규 생성에 대한 당위성을 설득하기 어려우며 기존의 다른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지지를 얻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만약 유사한 관심사를 다루는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이미 존재한다면 별도의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새로운 기반을 형성하는 것 보다는 해당 커뮤니티에 참여하여 협업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경우에는 이미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성화의 기반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개하려는 소프트웨어를 해당 커뮤니티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을 추가로 제안하여 기존 공개된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식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기존의 커뮤니티 중 공개하려는 소프트웨어와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 커뮤니티가 없는 경우 새로운 오픈소스 커뮤니티는 생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생성되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성장 단계는 Tech-nical Stage, Open Source Stage, Ecosystem Stage의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림 2 오픈소스 커뮤니티 성장단계


Technical Stage

Technical Stage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참여자들 중 개발자들 보다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공개한 소프트웨어의 바른 사용 방법과 권한을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는 공개한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를 컴포넌트 별로 식별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프레임워크를 통해 프로젝트의 라이선스 정책을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공개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 데모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프로젝트를 소개할 수 있는 웹사이트, 제공하는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공개된 저장소, 의사 소통을 위한 메일링 리스트와 커뮤니케이션 채널, 프로그램의 버그를 추적관리 할 수 있는 버그 트래킹 도구, 각종 문서를 쉽게 작성해 공유할 수 있는 문서화 도구 등이 필요하게 되며 사용자들이 공개된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는 범위와 사용에 따르는 책임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Open Source Stage

Open Source Stage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사용자와 개발자를 대상으로 잘 구성된 오픈소스 커뮤니티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는 커뮤니티 참여자들에게 프로젝트의 구조를 쉽게 설명하는 문서를 준비하고, 프로젝트의 로드맵을 제시하게 됩니다. 또한 커뮤니티 참여자가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를 개발자와 사용자로 구분하여 자세히 알려주고, 커뮤니티 내 분쟁이 일어나거나 의사결정이 필요할 때 어떤 방식의 의사결정과정을 따르게 되는지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전략적 방향에 따라 수많은 유형의 거버넌스 문서가 필요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오픈소스 커뮤니티 거버넌스 문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공통적인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개요 (overview)

    • 역할과 책임 (roles and responsibili-ties)

    • 지원 (support)

    • 기여 과정 (contribution process)

    • 의사결정 과정 (decision making pro-cess)


Open Source Stage 단계에서는 커뮤니티 참여자들의 역할과 책임에 따른 운영 조직이 구성되고 커뮤니티 운영 조직과 커뮤니티 참여자 간 투명한 합의를 기반으로 커뮤니티 운영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프로젝트 마일스톤과 릴리스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도구, 개발자 및 사용자를 위한 포럼, 이슈관리, 자동화 빌드, 소프트웨어 품질 가시화, 문서 협업 도구 등이 필요하며 외부의 참여자들이 프로젝트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안내하는 문서를 준비하고, 커뮤니티의 참여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cosystem Stage

공개한 소프트웨어의 사용자의 수가 늘어나고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성장하면서 커뮤니티 참여자들에 의한 사용자 지원으로는 기업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서비스 수준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Ecosystem Stage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확산과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공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즈니스에 활용하는 기업 멤버들과 다른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함께 상생협력을 중점으로 운영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는 기업들로 구성된 비즈니스 협의체가 조직되고 공식 기술지원 파트너 기업이 커뮤니티에서 홍보되어 기업에서 공개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긴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클립스 재단의 경우 다음과 같이 사용하는 프로젝트의 파트너 기업들이 제공하는 제품을 소개하는 마켓플레이스를 직접 운영하며,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공식적인 기술지원이 가능함을 홍보하여 프로젝트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림 3 Eclipse Foundation Marketplace


이처럼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원활한 지속적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공개한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기술지원을 제공하는 파트너 기업을 발굴하고 기업 멤버를 커뮤니티에 흡수하여 커뮤니티의 발전방향이 커뮤니티 참여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형성되어야 자연스럽게 커뮤니티 지속을 위한 재원 확보가 이루어지고 향후 공개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성공한 재단의 형태로 성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운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및 커뮤니티 운영이 성공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투명성과 문서화를 꼽을 수 있습니다. 

투명성은 프로젝트 관련하여 참여하는 사람들과 외부 참여자들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 도메인 및 기능을 어떻게 유지할 것 인가에 대한 명시를 의미하는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투명성의 유지는 대단히 중요할 뿐 만 아니라, 기업에 의해서 주도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라면 투명성의 확보는 해당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의 운명을 쥐고 있는 열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어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도 보이지 않는 장막 뒤에서 펼쳐지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은 없으며 특히 기업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전환을 시도할 경우, 그 동안 기업 내부의 습관에 의해 투명성을 소홀히 하고 내부 프로세스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란 매우 어려우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로의 전환의 실패로 이어질 확률 또한 매우 높습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투명성이 필요한 요소는 공개한 소프트웨어의 비전, 로드맵, 릴리스 계획, 형상관리 계획, 커미터 자격 조건, 새 기능 추가 또는 소프트웨어 패치의 제출 과정 등이 대상입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 운영의 다른 한가지 중요한 요소는 문서화입니다. 실제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이고 개발자 위주로 돌아가는 생태계이기 때문에, 문서화에 소홀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커뮤니티의 운영을 위해서 공개한 소프트웨어 자체에 대한 문서화와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구조 및 프로세스에 대한 문서화도 포함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문서를 통해서 커뮤니티 거버넌스 모델 명시, 커뮤니티 구조 및 프로세스 명시뿐만 아니라, 해당 소스코드에 대한 문서화도 명확하게 해두어야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를 활성화 시키게 되기 때문에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개발자 및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참여자들이 쉽게 편집할 수 있는 수준의 문서화를 제공하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마치며


해외의 경우 Apache, Eclipse, Openstack, Linux 등 다양한 오픈소스 재단이 설립되어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분야에서 핵심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데 비해 국내에서는 공개된 소프트웨어를 가져다 쓰는 사용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글로벌에 영향력이 있는 개발자 커뮤니티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입니다.

최근 우리 정부는 국가의 ICT R&D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과 집중 투자에도 불구하고, 창의적․선도적 혁신역량 제고와 성과확산에 한계를 인식하고 개방형 혁신의 장점을 반영한 핵심 원천기술의 오픈R&D를 추진하여 미래 유망기술을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하고 연구개발 결과물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외부의 참여자들과 협력하는 오픈소스 커뮤니티 기반의 개방형 혁신에 익숙하지 않은 연구기관들은 체계적인 관리모델의 부재로 인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세계시장 기술 경쟁력 기반확보를 위해서 정부에서는 오픈소스 생태계를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기술 연구개발을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방식으로 전환하고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통한 사용자 저변이 확산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기업의 경우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내부 개발자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글로벌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참여와 기여는 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을 홍보하는 효과적 수단임을 인식하고 내부 개발자의 오픈소스 커뮤니티 참여 활동을 적극 권장하고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에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연계한 개방형 혁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 김석관 :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 과학기술정책, 2008 

  • OW2 : open source software the governance makes the difference. https://www.slideshare.net/OW2/open-source-software-the-governance-makes-the-difference, 2015

  • 조재홍 : 공개SW 소비국을 넘어 기여국으로 성장을 위한 제언. NIPA, 2018









반응형

'오픈소스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데스크톱 OS들  (1) 2019.04.18
개방형 데스크톱 OS 동향  (0) 2019.04.05
오픈소스와 특허  (0) 2017.07.10
공개SW R&D 추진전략  (0) 2017.03.22
해외 기업들의 오픈소스 활용 비즈니스 전략  (0) 2016.10.27

+ Recent posts